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테로이드 부작용? 쿠싱증후군이란? 원인, 증상, 진단, 치료

by 웰빙쫑 2025. 5. 3.
반응형

 

부신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해 외부에서 스테로이드가 과도하게 주입되면 발생하는

쿠싱증후군!!!

아무리 다이어트를 해도 살이 안 빠지는 분들 있으시죠? 

쿠싱증후군이 있어도 그럴 수 있습니다! 

 

오늘은

쿠싱증후군의 원인, 증상, 진단 그리고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쿠싱증후군 증상 원인 치료 검사 완치 스테로이드 부작용 얼굴 피부 약 연고 주사 부신 기능 코티솔 코르티솔 호르몬

쿠싱증후군이란?

쿠싱증후군은 신체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당류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장기간 노출되면 발생할 수 있는 내분비 질환입니다.

당류코르티코이드 호르몬 중 가장 대표적인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신장 위쪽에 위치한 부신에서 분비되어 스트레스 조절, 대사 조절, 면역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그러나 코르티솔 호르몬이 과다하게, 장기간 분비되면 신체 곳곳에 다양한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쿠싱증후군의 원인

외인성 쿠싱증후군

- 쿠싱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 류마티스, 천식, 자가면역질환 등의 치료 목적으로 스테로이드(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 복용으로 발생합니다.

내인성 쿠싱증후군

- 뇌하수체 종양(쿠싱병) :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이 분비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에 자극받은 부신이 코르티솔을 분비합니다. 만약,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겨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부신도 끊임없이 자극받게 되므로 코르티솔의 생성이 과다해집니다. 

- 부신 종양 : 부신에 양성 선종과 같은 종양이 생기면, 종양이 코르티솔을 직접 과다 분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기타 신경내분비 종양 : 드물게 부신이 아닌, 폐 등의 다른 장기에서 ACTH를 분비하는 종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쿠싱증후군의 주요 증상

외모 변화

- 달덩이처럼 둥근 얼굴(문페이스)

- 목뒤와 어깨에 상대적으로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버팔로 험프)

- 복부비만 및 팔다리 근육 위축

- 피부가 얇아지고 멍이 잘 들며, 복부·허벅지 등에 자색 선조(스트리아) 발생

- 여드름, 다모증, 홍조

내부 증상

- 근력 약화, 골다공증

- 혈압 상승(고혈압), 혈당 상승(당뇨)

- 성기능 저하, 무월경

- 감염에 취약

- 혈전증 위험 증가

쿠싱증후군 증상 원인 치료 검사 완치 스테로이드 부작용 얼굴 피부 약 연고 주사 부신 기능 코티솔 코르티솔 호르몬

쿠싱증후군의 진단

쿠싱증후군은 증상만으로 진단하기 어렵고, 혈액 및 소변 검사로 코르티솔 수치와 호르몬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기본 검사

- 24시간 소변 코르티솔 검사

- 혈액 내 코르티솔 및 ACTH 농도 측정

- 1mg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등

원인 확인을 위한 추가 검사

- 복부 CT, 뇌하수체 MRI 등 영상 검사로 종양 여부 확인

- 필요시 기타 부위(폐 등) 종양 검사

쿠싱증후군의 치료

외인성 쿠싱증후군

- 스테로이드 약물 복용이 원인이면, 스테로이드를 처방한 병원에 진료를 통해, 점진적으로 용량을 줄이다가 중단하거나 용량 OR 약제를 조절합니다. 스테로이드 약제의 갑작스러운 중단은 위험하므로 반드시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내인성 쿠싱증후군

- 뇌하수체 종양 : 수술로 제거하는 게 원칙이나, 종양이 너무 크거나 중요한 부위를 침범한 경우 등 필요시에는 방사선 치료나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 부신 종양 : 뇌하수체 종양과 마찬가지로 수술로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치료입니다. 불가능할 경우 약물 치료를 진행합니다.

- 기타 종양 : 종양 위치에 따라 수술로 제거하거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방사선 OR 약물 치료를 진행합니다.

- 수술 후에 부신과 뇌하수체 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때까지 부신피질호르몬 제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보조 치료

- 혈압, 혈당 조절 치료 병행

 

- 혈전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 사용 등

쿠싱증후군의 예후 및 합병증

쿠싱증후군을 치료하지 않으면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감염 질환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5년 생존율이 50% 이하로 떨어질 수 있으니, 꼭!!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쿠싱증후군은 조기 진단과 쿠싱증후군을 발생시킨 원인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특히 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간 사용은 쿠싱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이므로, 스테로이드 복용 시에는 약물 용법을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쿠싱 증후군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적절한 진료가 필요함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스테로이드의 과도하게 노출되어 발생하는 쿠싱증후군과 반대로

부신 기능이 저하되어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 있습니다!!!

바로 부신기능저하증인데요!!!

아이러니하게도, 부신기능저하증의 대표적인 원인 역시 '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간 복용'입니다!!!

부신기능저하증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싶으신 분들

아랫글참고해 주세요 :)

 

 

 

 

반응형